1.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시간 단위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시간 단위 s(second)로 세부적으로 작성해 보면 다음과 같다.
실제 숫자 (Actual Number) | 값 (Value) | 접두어 이름 (Name) | 기호 (Symbol) |
---|---|---|---|
0.001초 | 10-3초 | 밀리 (Milli) 초 | ms |
0.000001초 | 10-6초 | 마이크로 (Micro) 초 | μs |
0.000000001초 | 10-9초 | 나노 (Nano) 초 | ns |
0.000000000001초 | 10-12초 | 피코 (Pico) 초 | ps |
밀리(10-3), 마이크로(10-6), 나노(10-9), 피코(10-12) 순으로 뒤로 갈수록 더 빠르다.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나노초가 사용될 정도로 컴퓨터는 처리 속도가 무척 빠르고 계산 결과가 정확하다. 10⁻⁹는 '10의 마이너스 9제곱' 초나 '10의 마이너스 9승'으로 읽으며, 컴퓨터에서 작성하는 계산식으로는 10^-9라고 작성한다. 이를 거듭제곱이라고 부르고, 마이너스 제곱, 음수 지수의 계산은 해당 숫자의 역수를 취하여 양수 지수로 계산하는 것과 같다. 10⁻ⁿ은 1/10ⁿ 과 같은 것이다.
- 수학(유니코드) : 10⁻⁹
- 수학(html태그) : 10-9
- 컴퓨터 : 10^-9
- 실제 숫자 : 0.000000001
- 분수 표기 : 1/1,000,000,000
2. 맥에서 거듭제곱, -제곱, -승 표시하는 방법 (feat. 유니코드)
이 문서를 맥으로 작성하면서 맥에서 -제곱, -승을 표시하는 방법이 무엇이 있나 궁금해져서 찾아보았다. 늘 컴퓨터에서는 수학에서 사용하는 기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가 없어서 처음에 컴퓨터 표기 방법을 볼 때는 헷갈리고, 답답하던 참이었다. 결론적으로 맥에서 수학 기호인 -제곱, -승을 표시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키보드에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모티콘 유니코드를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키보드 맨 왼쪽 가장 아래의 fn 키나 지구본 키를 누르고(한번 눌렀을 때 현재 커서가 위치한 글씨에 해당하는 이모티콘을 바로 추천할 수도 있는데, 이때 해당하는 키를 한번 더 눌러주면 검색창이 나온다) 이모티콘 검색창에 영어로 superscript를 쳐주고 원하는 윗첨자 글씨를 고르면 된다. -와 숫자를 각각 따로 골라야 한다. 모든 기호를 지원하지는 않는다.
워드, Pages 등에서는 서식 > 기준선 > 윗첨자 사용 가능하고, LaTeX에서는 x^{-3}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html에서는 <sup> 태그를 이용해서 감싸주면, 윗첨자(superscript)로 치부되어서 작은 글씨로 각주 주석이나 수학 기호인 제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아랫첨자(subscript) 텍스트를 표현할 때는 <sub> 요소를 사용하면 된다. 이는 유니코드와는 다른 표기방식이며, 복사 붙여넣기 했을 때는 윗첨자 문자로 적용되지 않는다.
3. 맥에서 마이크로 기호 표시하는 방법 (feat. 유니코드)
맥에서 마이크로 기호인 µ를 표시하는 방법은 승과 제곱을 표시하는 방법과 같다. 역시나 키보드 맨 왼쪽 가장 아래의 fn 키나 지구본 키를, 혹은 control + command + space를 누르고(한번 눌렀을 때 현재 커서가 위치한 글씨에 해당하는 이모티콘을 바로 추천할 수도 있는데, 이때 해당하는 키를 한번 더 눌러주면 검색창이 나온다) 이모티콘 검색창에 영어로 micro를 검색해서 µ기호를 선택하면 된다. 마이크로 기호(μ)는 그리스 문자 뮤(mu)이다.
html에서는 μ로 표시한다.
4. 전체 SI 단위 이름
실제 숫자 (Actual Number) | 값 (Value) | 접두어 이름 (Name) | 기호 (Symbol) | 비고 |
---|---|---|---|---|
1,000,000,000,000,000,000,000,000 | 1024 | 요타 (Yotta) | Y | |
1,000,000,000,000,000,000,000 | 1021 | 제타 (Zetta) | Z | |
1,000,000,000,000,000,000 | 1018 | 엑사 (Exa) | E | |
1,000,000,000,000,000 | 1015 | 페타 (Peta) | P | |
1,000,000,000,000 | 1012 | 테라 (Tera) | T | |
1,000,000,000 | 109 | 기가 (Giga) | G | |
1,000,000 | 106 | 메가 (Mega) | M | |
1,000 | 103 | 킬로 (Kilo) | k | |
100 | 102 | 헥토 (Hecto) | h | *특별한 이유가 있지 않는 한 쓰지 않는 편이 좋다 |
10 | 101 | 데카 (Deka) | da | *특별한 이유가 있지 않는 한 쓰지 않는 편이 좋다 |
0.1 | 10-1 | 데시 (Deci) | d | *특별한 이유가 있지 않는 한 쓰지 않는 편이 좋다 |
0.01 | 10-2 | 센티 (Centi) | c | *특별한 이유가 있지 않는 한 쓰지 않는 편이 좋다 |
0.001 | 10-3 | 밀리 (Milli) | m | |
0.000001 | 10-6 | 마이크로 (Micro) | μ | |
0.000000001 | 10-9 | 나노 (Nano) | n | |
0.000000000001 | 10-12 | 피코 (Pico) | p | |
0.000000000000001 | 10-15 | 펨토 (Femto) | f | |
0.000000000000000001 | 10-18 | 아토 (Atto) | a | |
0.000000000000000000001 | 10-21 | 젭토 (Zepto) | z | |
0.000000000000000000000001 | 10-24 | 욕토 (Yocto) | y |
'컴퓨터사이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기초 (0) | 2025.07.02 |
---|---|
OSI 모델 네트워크 7계층 구조 (0) | 2025.07.02 |
자료구조 종류 (1) | 2025.06.28 |
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0) | 2025.06.18 |
컴퓨터란 무엇인가? (0) | 2025.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