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 바뀔 고정된 데이터를 넣을 때는 상수, 코드 내부에서나 외부 입력을 받아서 바뀔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변수를 쓰면 된다. 예컨대, 게임의 규칙 같은 것은 상수, 게임 주사위의 롤 값 같은 것은 변수로 저장하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과거에는 메모리 때문이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상수에 넣을 데이터를 변수에 넣으면 더 많은 메모리를 잡아먹기 때문.
하지만 현대 스크립트 인터프리터 언어는 개발 편의를 위해 만들어졌기에 그렇게까지 메모리를 신경 쓸 필요는 없고, 다만 변수와 상수를 각각의 용도별로 구분하여 이름이 겹치지 않게 함으로써 개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할 때 순서대로 해야할 일 (0) | 2025.06.28 |
---|---|
자바스크립트 Array 사용법 (0) | 2025.06.28 |
자바스크립트 var, let, const의 차이는 무엇인가? (1) | 2025.06.25 |
Data type 자료형과 Data Structure 자료구조의 차이는 무엇인가? (1) | 2025.06.25 |
자바스크립트 프로퍼티와 메소드의 차이는 무엇인가? (0) | 2025.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