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할 때 순서대로 해야할 일

자바스크립트 2025.06.28 댓글 유니밧
반응형

1. data type, data structure 살펴보기

프로그래밍 언어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언어고,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입력 받은 데이터를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하고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상자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운다고 하는 것은, 현대의 프로그래밍 언어(3세대 언어)를 말하는 것일 터인데, 모든 현대 프로그래밍 언어는 C언어의 등장 이후 이 문법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기에 이미 한 가지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운 상태라면 다른 언어를 배우는데에 무리가 없다.
따라서 언어별로 다른 부분들을 공부하면 되는 것인데, 가장 차이점으로 대두되는 것이 바로 이 data type과 data structure다. 독특한 자료형이나 자료구조가 있다면 이를 각종 구현 문법으로 표현할 때 잘 살펴보면 유용하다.

2. 예약어(접두어, 접미어) 익숙해지기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는 앞서 말했다시피 뿌리가 같기에 본질적으로 동일한 문법을 가지고 있지만, 언어들마다 조금씩 예약어들이 다른 경우가 있다. 함수를 function이라고 하는 곳도 있고, func라고 하는 곳도 있고, def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혹은 객체를 호출할 때 .을 쓰거나, ->을 쓰는 등의 사소한 차이가 있기도 하다. 이럴 예약어에 조금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3. Method 파악하기

언어별로 처리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각 언어별로 특화된 Method(방법론)를 제공한다. js는 async 문법을, C++는 호출 관련 추상화 메소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본질적 관점에서 봤을 때는 다소 쓸데없지만, 개발 편의와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서 존재하는 각각의 언어별 다른 방법론들이니, 해당 언어를 주력으로 하는 프로젝트를 개발한다면 익숙해지는 것이 좋다.

결론

이 세 가지에 익숙해지고, 이러한 개념이 언어별로 존재한다는 것만 깨닫는다면, 어떤 언어든 무리 없이 학습하고, 실무에 도입할 수 있다. 언어를 처음 배울 때는 문자 그대로보다, 개념적으로 접근하고 실제로 사용해보며 씹뜯맛을 하며 익숙해지는 것을 추천한다.
언어는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익숙해지는 것이다.

댓글